가정용 전기요금은 미납 누진제로 흔히 말하는 '전기세 폭탄'으로 나중에 돌아올 수 있습니다. 또한 한전의 연속적인 적자 때문에 전기요금 자체도 올라서 더욱 불필요한 지출에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 상황입니다. 그래서 오늘은 전기요금의 여러 가지 조회/납부 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. 전기요금 청구서를 잃어버린 경우에도 유용하니 꼭 사용해 보세요.
목차
전기요금 조회 방법
1. 오프라인
2. 온라인(PC, 모바일)
▶ 온라인 조회
▶ 온라인 납부
전기요금 조회/납부 방법
1. 오프라인
▶ 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 전화(☎ 123)
한전 고객센터 ARS에서 전기요금조회 및 납부를 누르면 신용카드 납부, 전용 계좌 안내를 받아 납부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영업시간에는 상담원과 직접 통화해서 전기요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이 경우 고객번호를 알아야만 정상적인 납부가 가능합니다. 고객번호를 모르시는 분이라면 아래 링크를 통해 먼저 메모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※ 한국전력공사 고객번호 조회 방법 바로가기.
2. 온라인(PC, 모바일)
▶ 온라인 조회
온라인 조회는 한전ON을 통해 가능합니다. 그동안 한전 사이버지점을 통해 확인해왔지만 올해 12월 31일에 서비스를 종료하기 때문에 한전ON에 빨리 익숙해지는 것이 장기적으로 좋다고 생각합니다.
※ 한전ON 바로가기.
① 우선 위 링크로 가서 로그인합니다.
② 아래 사진의 왼쪽과 같이 '마이' - '요금조회' 순으로 클릭합니다.
③ 이후 변경된 페이지에서 청구기간별 요금을 고객번호 또는 이름 또는 주소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▶온라인 납부
아래의 납부방법 이외에도 토스, 금융기관 등을 통한 납부 등 전기요금 납부 방법은 정말 많습니다. 하지만 개인적으로 한전ON을 이용한 방법을 추천합니다. 한번 가입하면 나중에 있을 이사정산, 명의변경, TV수신료 개별납부 등 많은 서비스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① 한전ON에서 '마이' - '요금납부' 순으로 클릭합니다.
- 자동이체 : 한 번만 자동이체를 신청하면 전기요금만 확인하고 미납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. 게다가 자동이체 신청 시 전기요금의 5%(최대 500원)를 할인합니다. 자동이체 신청방법 바로 가기.
- 입금계좌안내 : 가상납부계좌를 만들어서 이체하는 방식으로 전기요금을 납부합니다.
- 신용카드 : 고객번호로 신용카드결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전기요금 납부합니다.
② 편의점 결제 : 한전ON 앱을 다운받아야 가능합니다. 한전ON 앱에서 QR코드를 발급받아 금융기관 마감 시간대에도 편의점에서 전기요금을 납부합니다.
※ 지원 편의점 : GS25, 세븐일레븐, 미니스톱, CU
③ 인터넷 지로 : 지로결제시스템을 이용해서 전기요금을 납부합니다. 전기요금만 납부하실 거라면 개인적으로 한전ON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. 액티브 X부터 절차가 복잡합니다.
④ 카카오페이 납부
☞ 카카오페이의 청구서가 존재하는 경우 : 하단의 '전체' - 전자문서의 '청구서' - '한국전력공사' 순으로 접속하시면 됩니다.
☞ 전기요금 청구서(종이)가 존재하는 경우 : 하단의 '전체' - 전자문서의 '청구서' - '종이고지서 바로납부' 순으로 터치하고 청구서의 QR코드를 스캔하면 됩니다.
'공과금 > 전기요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요금(전기세) 자동이체 해지하는 3가지 방법 (0) | 2023.11.11 |
---|---|
전기요금(전기세) 자동이체 4가지 신청 방법, 주의 사항 (0) | 2023.11.03 |
한국전력공사(한전) 고객번호 조회하는 4가지 방법 (0) | 2023.11.03 |